국내 교수팀이 종양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GAS5가 간세포암에서 종양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해 주목된다.
가톨릭의대(학장 정연준)은 최근 병리학교실 남석우 교수팀(김상연 연구강사·하진웅 연구원)이 종양 억제 유전자로 잘 알려진 'GAS5'(Growth Arrest Spectific 5)가 간세포암(HCC)에서는 오히려 종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GAS5는 다양한 암종에서 세포 성장을 멈추게 하고 암세포의 확산을 막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간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는 역설적으로 GAS5의 발현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관찰된다는 점에 주목한 것.
이에 교수팀은 빅데이터 분석과 실험에 착수했다. 간질환자들의 빅데이터, 세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TCGA, ICGC 등)의 RNA 분석 자료, 다양한 실험 모델(세포 및 동물 실험 포함)을 활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GAS5가 단순한 암 억제 유전자가 아닌, 특정 조건에서는 간암을 촉진하는 유전자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더 나아가 GAS5에 m6A 변형이 생기면 RNA가 분해되지 않고 오래 살아남게 돼 기능적 활성도가 높아진다는 사실도 함께 확인했다.
이처럼 안정화된 GAS5는 miR-423-3p라는 작은 RNA를 흡수하면서 간접적으로 세포 성장과 유전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MARCA4라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다시 하위 유전자들의 조절로 이어져 간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GAS5–miR-423-3p–SMARCA4 축'이라는 유전자 연결망을 형성한다는 것.
이에 교수팀은 GAS5의 양을 조절하거나, miR-423-3p의 작용을 차단하거나, m6A 변형을 조절하는 효소에 주목하면 새로운 간암 치료 전략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GAS5, miR-423-3p, SMARCA4가 간암의 조기 진단 마커나 예후 예측 인자로 활용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남석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후성유전적 조절이 암 발병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을 입증한 결과"라며 "GAS5가 새로운 항암표적으로서 RNA 치료제 개발에 활용되거나 바이오마커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향후 이 메커니즘이 타 암종에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한지 규명하는 후속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IF: 12.9) 2025년 6월호에 발표됐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