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문 농양' 방치하면 치루로 악화 가능

은평 서울장문외과 송호석 원장 "적극적인 진단·치료 필수"

우리 몸에 염증이 생기고 악화되면 고름이 만들어진다. 항문 조직에도 이러한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항문 농양이라고 한다. 항문 내 농양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지만, 흔한 것이 항문주위농양이다. 이는 항문 내의 윤활 작용을 하는 분비물이 나오는 항문샘에 염증이 생겨 농양이 차는 질환이다.

항문주위농양은 대부분 대장균 등 감염이 원인이다. 대장 내 세균이 항문샘으로 들어가거나, 대변이 들어가면서 점막 하 조직이 곪아서 농양이 생긴다. 세균이 들어간다고 무조건 감염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감염되기 쉽다. 크론병 같은 염증성장질환, 결핵 등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고, 평소 과로나 과음으로 인한 설사, 무른 변을 보는 사람에게서 생기기 쉽다.

은평 서울장문외과 송호석 원장은 "농양으로 인한 증상은 발생한 위치에 따라 조금 다르다. 항문의 얕은 부분에 농양이 생기면 항문 주위가 부어 오르고 심한 통증과 발열이 일어난다. 만지면 통증도 심하다. 깊은 부위에 농양이 생긴 경우 겉보기에 붓지 않더라도 발열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농양이 생긴 것을 모른 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악화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항문주위농양이 악화하면 고름이나 진물 등 분비물로 흘러나오게 된다. 항문 주위가 지저분해지고, 악취가 난다. 항문 주위에 좁쌀만한 구멍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구멍이 막히면 농양이 또 생기면서 재발한다.

고름이 생기면 즉시 수술로 배농을 해야 한다. 초기에는 고름을 빼주면 치료도 간단한 편이다. 하지만 항문 주위 피부에 항문관과 연결된 누공인 치루가 생기면 치료가 까다로워진다.

송호석 원장은 "항문농양과 치루는 다른 질환이지만, 대개 항문주위농양이 생기고 이후 염증이 가라앉으면서 치루관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농양으로 인해 공간이 생기면 세균에 더 취약해지고 염증도 더 쉽게 일어나 치루가 심해지거나 복잡한 양상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치루가 발생하게 되면 지속해서 염증이 생기고 진물이 나거나 고름이 배출되게 된다. 고름이 흘러나와 악취를 유발하고 통증도 심해져 일상에도 큰 불편이 생긴다. 치루는 자연 회복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수술적인 치료가 불가피하다. 여러 개의 누공이 생기는 복잡 치루의 경우 수술도 까다롭고, 수술 후 재발도 흔하다.

송호석 원장은 "치루 수술은 괄약근 침범 여부, 누공 위치와 개수 등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진다. 수술 시 부득이하게 괄약근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괄약근 손상 범위가 커지면 변실금 등 부작용을 겪을 수 있어 고난도 치루 수술에 대한 충분한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농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났을 때 미루지 말고 적극적인 진단·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