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 1조원 돌파

농촌경제연구원 "안정적 공급체계 필요"

국내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이 올해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수입산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어 과일·채소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1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 변화와 대응과제연구를 통해 최근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에 대해 분석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김상효 부연구위원은 건강에 대한 관심,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트렌드 확산에 따라 컵과일, 샐러드 등 즉석섭취용 신선편이 과일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외식업체나 급식업체에서도 신선편이(전처리) 채소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의 성장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신선편이 제조업에서 사용 중인 채소과일의 77.9%가 국내산으로 국산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최근 수입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산 농산물의 안정적 확보가 어려우면 시장이 수입산으로 대체될 우려가 커진다.

연구진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의 규모가 2020년에는 11369억 원으로 1조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구용 수요를 조사한 결과, 조리용 간편채소와 즉석섭취용 채소·샐러드, 즉석섭취용 컵조각 과일 모두 구매 의향 점수가 5점 만점에 3.36~3.56점으로 향후 구매 의향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단체급식 시장의 경우 향후 구매 전망 점수가 신선편이 채소는 3.83, 신선편이 과일은 3.43점으로 모두 높게 나타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의 성장이 소비자의 식생활 개선, 농산물 소비 증가, 식품산업의 신수요부가가치 창출, 음식물쓰레기 감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도 있다고 언급했다.

기업 입장에서 산업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신선편이 중소기업 지원의 현실화, 지역에 기반한 고용창출 지원, 원료의 안정적 조달체계 구축, 수요자 중심의 연구개발과 기술 보급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신선편이 제조업체 조사 결과, 직영 농장을 운영해 조달하는 비중은 전체의 1.8%에 불과하다. 주로 유통업체와 산지수집상(36.9%)에 의존하고 있어 원물가격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계약재배 경험은 38.9%에 그치고 있으며 1년짜리 단기계약 비중이 57.1%로 높은 편이다. 향후 계약재배 의향 역시 25.0%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돼 원료의 안정적인 조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김 부연구위원은 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생산자와 제조업체,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민관협력이 필요하다민관협력을 통해 산지조달 확대, 계약재배 추진, 직영농장 운영, 긴급물량 조달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기반 확대와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위생안전 관리 강화, 시장정보 제공 확대를 통한 거래 활성화, 정부 정책과 연계한 안정적 수요처 확보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신선편이 과일채소는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절단하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오염 위험과 같은 안전이나 위생에 대한 사용자의 우려가 항상 존재해,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제고하지 않고서는 산업이 결코 성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식품 사고의 발생은 신선편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농림식품산업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예방적인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