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편차 심한 심뇌혈관질환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로 해결

배장환 교수, 심뇌혈관질환법 2017년 시행됐으나 역할 제대로 못해

지역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심뇌혈관질환 문제 해결을 위해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조기 설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배장환 충북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19일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배장환 교수는 “심뇌혈관질환의 지역별 사망률 차이, 지역별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의한 불균형, 지역별 의료인력 수급불균형이 심각하다”며 “심근경색증 발생률과 사망률의 차이가 크다. 현재 사망률의 경우는 2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이는 치료가능 사망률의 지자체간 차이의 중요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심근경색증의 조기인지도, 구급차 이용률, 전원률의 지자체간 차이가 매우 크다”며 “경남 함안-하동, 전남북, 중남의 도서지역민의 심근경색증 이송 체계가 허술해 지속적으로 사망률이 높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심근경색증 환자의 구급대 이송 중 진료지도는 15% 미만에서 이뤄져 이송 중 중증도 평가와 적절 치료병원의 이송이 불가능하다”며 “구급대원은 12 전국 심전도를 측정할 수 없도록 의료기사법이 되어 있어 흉통 환자에게 심전도 검사도 불가능하며 획득한 의료정보를 원격으로 119 중앙센터로의 전송도 불가능한 상태”라고 비판했다.

그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2017년 이시 시행됐으나 현실적으로 국가와 지자체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역할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가장 큰 원인은 법안 시행을 위한 적절한 예산을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어 국가와 지자체 수준에서의 5년 계획이나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배 교수는 “응급의료센터는 국립중앙의료원 내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존재하고 암센터 역시 국립암센터에서 정책입안기능과 R&D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심혈관질환은 지방에 권역센터만 존재하고 이들을 조정할 중앙심뇌센터가 없어 적절한 심혈관질환 정책의 수립과 연구기능이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배 교수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설립을 제시했다.

그는 “서울지역에 없는 권역센터의 설립하고 지역심뇌센터의 설립으로 권역 내에서 심혈관질환의 사전예방, 24시간 상시 치료, 재발방지, 환자 등록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며 “심혈관질환의 정책기능과 R&D 업무를 수행하고 권역, 지역 심뇌센터의 업무 조정을 위한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