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농업인 역할 증가…관련 정책 효과는 낮아”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통해 밝혀

여성농업인이 농업생산 참여와 역할이 계속 증가하면서 정부의 관련 정책도 추진되고 있지만, 정작 대상자인 여성농업인이 체감하는 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 엄진영 부연구위원 등은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세대별로 여성농업인이 담당하고 있는 농사일의 비중이 다르다"며 "각 세대에 맞는 영농활동 관련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정책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농업 취업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2008년 43.6%에서 2013년 66.2%로 22.6%p 상승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세대별로 구분된 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분석결과를 보면, 26~45세의 청년여성농업인의 담당 비중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6~65세 여성농업인은 농사일을 담당하는 주축 세대로, 농사일 비중도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65~85세 여성농업인의 경우 일부 세대에서 농사일 담당 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효과는 매우 미미하고, 대부분은 농사일 담당 비중이 줄어들고 있었다.

연령별로 여성농업인의 정책 요구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26세부터 45세 그룹은 소득이 불안정성 완화, 자녀 교육의 질적 측면까지 고려한 정책, 자격증 취득, 컴퓨터 교육 수요가 높았다.

46세에서 65세 여성농업인은 노동투입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가사와 농사일 병행에 따른 부담을 가장 많이 호소했다. 따라서 농번기에 가사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66세에서 85세는 대부분 특정한 교육보다는 여가시가을 활용하는 건강 관련 수업이나 취미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엄 부연구위원은 "정책 전달체계 개선과 홍보 강화를 통한 정책 인지도 개선, 여성친화형 농기계 확대사업 개선과 농번기 마을공동급식시업, 세대별 맞춤형 교육 체계 등 수요자를 고려한 정책을 강조하면서 무엇보다 농촌 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장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