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노년을 위한 고령친화식품 개발 활발

[신년기획] 식품업계 블루칩 '실버푸드'가 뜬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실버푸드시장이 각광 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본격적으로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서 시니어 소비자를 잡기 위한 실버푸드 시장을 선점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에 맞춰 국내 식품업체들도 실버 푸드를 개발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노년층의 치아 상태와 건강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을 내놓고 판촉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실버푸드 산업이 제대로 발전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 법과 제도의 정비도 필요하고, 현재 저마다 업체별로 내놓고 있는 제품의 규격 표준화도 필요하다. <편집자 주>

 

한국의 실버푸드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는 이웃나라 일본에서 찾을 수 있다. 일본은 세계에서 고령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다. 1994년 고령사회로 들어선 데 이어 2006년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일본에서는 치아가 불편한 노인이 씹기 편하도록 제조한 연화식(軟化食)을 각 가정에 배달하는 등 일찍부터 실버푸드 시장이 활성화돼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 등을 포함한 국내 고령 친화 식품 시장 규모는 20115104억원에서 20157903억원으로 5년 새 54.8% 성장했다.

통계청이 지난해 공개한 ‘2016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6775000명으로 국내 전체 인구의 13.6%를 차지한다.

고령 인구가 처음 0~15세 유소년 인구(677만명)를 넘어서면서 실버산업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업계는 2020년 해당 시장이 1660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실버 푸드 시장을 둘러싼 식품·유통업계 간 선점 경쟁도 점차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식품업계 역시 실버푸드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 이미 잠재적 수요는 별도의 시장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일부 업체에서는 실버푸드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국내 실버푸드 시장은 아직은 초기 단계에 있어 제품 종류와 정보가 부족하고 구매할 수 있는 유통 체계도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건강기능식품과 실버푸드들이 무분별하게 유통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업들의 관심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유통과 안전성 관리 측면에서 미흡한 부분이 지적됨에 따라 관련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실버푸드 산업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줄 인증 제도를 활성화하고 노인들을 위한 식품인 만큼 업체들이 안전한 제품을 제조·공급할 수 있도록 엄격한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다행히 정부 역시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령친화식품의 시장규모를 확대하고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관련 협의체 구축, 표준 마련, R&D 투자 확대 등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식품업계, 의료계, 복지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우선,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을 연내에 마련해 관련 업계에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한국산업표준을 마련해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지정표시제도(고령친화우수제품) 운영에 도움을 주고, 기업의 다양한 제품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법과 제도가 뒷받침된다면 향후 고령친화식품 신소재 개발, 제품 개발 등을 위해 실버푸드 산업을 겨냥한 R&D 규모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실버푸드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한다면 일본·홍콩 등 고령화가 진행 중인 국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고령친화식품의 수출도 기대되고 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