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환자 매년 증가하는데 정부는 '무관심'…"대책 필요해"

대한이과학회, 귀 건강에 대한 국민과 정부 관심 주문

난청은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의사소통의 부재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을 잘못 알아듣게 돼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난청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과 자존감 저하 등으로 우울증 등 정신과적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노화성 난청환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난청 등 귀 건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이과학회(회장 오승하)는 오는 9월9일 '귀의날 50주년'에 앞서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난청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왼쪽)오승하 회장, 노환중 이사장.

대한이과학회 오승하 회장은 "못보는 것은 사물로부터 멀어지게 하지만 못듣는 난청은 사람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며 "귀 건강은 사회건강에서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난청 등 귀 건강 문제는 신생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그 심각성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대한이비인후과 노환중 이사장 역시 "난청에 대한 국민 인식은 물론 정부정책도 미흡한 실정"이라며 "이과학회 등 관련학회 전문가들이 이런 심각한 상황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고 정부에 알려야할 시기가 왔다"고 말했다.

이과학회는 이날 우리나라 난청 현황과 노화성 난청 등에 대한 심각성을 알렸다.

▲채성원 공보이사.

이과학회 채성원 공보이사는 "현재 40dB이상의 노화성 난청으로 보청기가 필요한 인구는 약 56만 8000명이지만, 보청기 구입으로 경제적 지원을 받는 65세이상의 청각 장애인을 15만 9000명에 그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가 급증하는 것을 감안할 때 노화성 난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채 공보이사는 "청각 장애 기준에는 못미치지만 귀 양측 41dB이상의 청력 저하를 보이는 약 40만 9000명의 노하성 난청환자에 대해서도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보청기 구입시 경제적 지원 확대를 비롯한 대책도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됐다.

보청기는 청력재활장비로 일측에 약 100만원~500만원의 고가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해 청각재활이 적절한 시기에 되지 못하는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

이와 함께 최근 이어폰, 스마트폰 등의 증가로 청소년들의 귀 건강도 '적신호'임을 알렸다.

정부가 실시하는 학교검진에선 유병률 0.47%수준에 그치지만 이는 검진 내용이 부실한 결과일 뿐 실제로는 위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게 학회 측의 지적이다.

지난 2012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조사한 휴대용 음향기기 사용실태를 파악한 결과 서울시내 소재 고등학생, 대학생 212명 중 75%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음악을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시간 이상 음악을 청취하는 이들은 63.2%였으며 4시간 이상 사용한다는 이들도 22.6%에 달했다. 심지어 90dB이 넘는 수준으로 음악을 청취하는 이들도 28.1%로 높았다.

청력검사 설문조사에서 '자각 증상을 경험했다'라고 답변한 이들도 25%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은 '귀가 먹먹하다' 혹은 '대화시 잘 알아듣지 못한다' '이명' 등을 호소했다.

대한이과학회 박상호 개원이사는 "자각 증상이 있더라도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의 특성상 실제로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는 인원은 극히 적다"며 "학교검진, 심평원 통계 유별률의 허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박 개원이사는 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귀건강에 대한 학교검진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조기 발견해 진행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