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환자 대부분 항암신약 혜택 못 받아"

암보협, OECD 대비 암치료 보장성 비교분석 발표

이원식 기자 2016.05.10 15:43:09

국민 3명 중 1명이 암에 걸리는 시대.  특히 높은 사망률과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할 때 4기 암은 정부 보건정책에서 우선 순위를 높여야 하는 질환에 속한다. 우리나라도 이에 걸맞는 선진화된 치료 정책과 환경이 마련돼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높다.

국내 최초의 민간 상설기구로 출발한 한국 암치료 보장성확대 협력단(이하 암보협)10일 프레스센터에서 발족식을 갖고, 4기 암환자의 치료 보장성에 대한 보건정책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암보협 대표직을 맡은 정현철 연세의대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암 진단과 치료의 눈부신 발전으로 지난 40년 간 암환자의 5년 생존률이 40% 가까이 증가했지만, 4기 암환자의 경우 아직도 그 혜택을 충분히 누리고 있지 못하다고 하면서 진단, 수술, 검진 부문은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지만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항암 신약 접근성과 OECD에서 가장 느린 항암제 도입 때문에 우리나라 4기 암 환자들은 최선의 치료를 받는데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암보협은 첫 번째 활동으로 주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개 회원국과의 비교분석 데이터 한국 암치료 보장성의 현주소백서를 발간했다.

이번 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항암신약 건강보험 등재율은 OECD 평균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지난 6년간(2009~2014) 새로 허가 받은 항암 신약의 보험 등재율은 OECD 평균 62%였지만 우리나라는 29%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혁신적이거나 의학적 요구도가 높은 항암 신약일수록 건강보험 적용에 어려움이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청(EMA)의 신속 승인 절차로 허가 받은 항암 신약의 보험 등재율은 OECD 평균 54%였으나 우리나라는 8.5%였다.

김봉석 중앙보훈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항암제 보장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지만 타 질환과 비교해보면, 암 질환에 대한 보장성 강화에 지속적으로 속도를 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새로운 항암제 치료에 대한 정부의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의료진을 비롯해 환자, 제약업계가 참여한 발족식에는 환자 가족의 체험이 소개됐으며 환자 중심의 암치료 보장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암보협은 앞으로 암치료의 보장성 강화를 강화를 위한 정책 결정 과정에 암 환자 및 가족의 바람과 학술적 근거를 정확하게 전하는 씽크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